본문 바로가기
  • 예문당 - 함께 만드는 책 놀이터

전체 글858

신문에 소개된 책 - 2009년 12월 둘째주 매일경제 2009.12.12. - 닥터스 | 셔윈 눌랜드 지음, 안혜원 옮김 | 살림 - 프로이트의 의자 | 정도언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텅 빈 요람 | 필립 롱맹 지음, 백영미 옮김 | 민음인 - 2010 리더스 다이어리 | 매경이코노미 증권팀 지음 | 매경출판 - 바다와 대학 | 홍승용 지음 | 블루앤노트 - 자이언트 스텝 | 마이클 몰 지음, 신승미 옮김 | 비즈니스맵 - 비열한 시장과 도마뱀의 뇌 | 테리번햄 지음, 서은숙 옮김 | 갤리온 - 지상 최대의 쇼 | 리처드 도킨스 지음,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백기사 신드롬 | 메리 라미아, 메릴린 크리거 지음, 이창신 옮김 | 미래인 - 모바일 혁명이 만드는 비즈니스 미래지도 | 김중태 지음 | 한스미디어 - 2010 블루슈머 | KOTRA.. 2009. 12. 13.
블로그 유입 경로, 유입 키워드 분석 오늘은 저희 블로그의 유입 경로와 유입 키워드에 대한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문당 블로그는 일 조회수와 전체 조회수가 작기 때문에, 그보다 큰 제 개인 블로그와 연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예문당 블로그입니다. 총 조회수 1600정도 되고, 일 조회수 50 전후입니다. 아래는 2009년 12월 8일의 유입경로와 키워드입니다. 일주일동안의 유입키워드는 25개입니다. 유입경로를 보면 네이버 서치가 가장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2009년 12월 11일의 유입경로와 유입키워드입니다. 유입키워드는 23개로 3일 전과 비슷합니다. 다만, 유입경로가 많이 바뀌었습니다. 다음뷰가 가장 많지요. 여기서 한가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왜 네이버 서치로 유입되는 결과가 늘지 않았을까??? 라는거지요. 결과.. 2009. 12. 11.
정부의 2010년 경제 전망 정부의 2010년 경제 전망 경제 성장률 5% 내외 취업자 증감 20만명 경상수지 150억 달러 소비자물가 3% 내외 자료 = 기획재정부 이런 수치의 중요성을 잘 몰랐는데요, 경제경영서 내시는 출판사에서는 트렌드 분석이 중요하잖아요. 이런거 수치가지고 분석해주시더라구요. 저희는 경제경영서가 나오고 있지는 않지만, 세상물정에 관심을 갖기로 하였으니 스크랩해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09. 12. 11.
대외경제정책 10대 추진전략 대외경제정책 10대 추진전략 1. 글로벌 통상 네트워크 구축 - 중국 일본과 FTA 등 중장기 추진전략 마련 2. 전략적 외국인 투자 활성화 - 100대 중점 유치기업 선정 - 서비스업에도 외국인 투자지역 지정 - 경제자유구역 제도개선 (분양가상한제 배제 등) 3. 중소기업 대외경쟁력 제고 - 수출금융지원 확대 : 13조원 (2009년) -> 21조 4000억원 (2012년) 4. 금융부문 글로벌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 IMF, 세계은행 지분율 확대·한국거래소 국제화 : 한상기업 유치 5. 지역별 맞춤형 경제협력 추진 6. 전방위 에너지 자원 협력 강화 - 연내 5000억원 규모 자원개발펀드 조성 7. 녹색성장을 위한 대외부문 지원체계 강화 8. 한국형 공적개발원조(ODA) 모델 정립 9. G20 성공.. 2009. 12. 11.
2010 빅 모멘텀 모멘텀(Momentum) : 경기·증시 등이 꾸준히 상승할 수 있게 만드는 동력. 물체가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뜻하는 물리학적 용어에서 유래했다. Mobility 2010년은 자본과 인재 등 재화가 여느 때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한 해다. 나라별로 경기 회복 시차가 나타나면서 금리·외환에서 아비트리지(재정거래)가 발생할 것이다. One Asia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세계 경제의 패권 이동이 가속화하고 있다. 아시아는 선진국을 대체할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하는 원 아시아는 미래의 키워드다. Micro policy 2009년이 거시 경제 정책을 통한 위기 탈출의 한 해였다면 2010년은 미시경제 정책을 통한 회복과 도약의 단계다. 통화·재정 정책보다는 .. 2009. 12. 11.
내년 유통업 키워드 SMILE Shopping mall 쇼핑몰 M&A 인수합병 Internet shopping 인터넷 쇼핑 Loyalty marketing 충성 마케팅 Eco friendly consumer 환경친화 Shopping mall 저의 생활과도 많은 관계가 있네요. 저는 아이들을 낳고 나서부터는 쇼핑몰을 이용하는 편이거든요. 상도동에 살때는, 반포 센트럴시티와 용산 아이파크몰을 주로 이용했어요. 쇼핑몰의 장점은 한번에 여러가지를 할 수 있다는 것이죠. 아이들때문에 여기저기 다니기 번거로울 때, 정말 편리해요. 지금은 시흥동에 사는데요, 이제는 새로 생긴 타임스퀘어로 갑니다. 오늘도 타임스퀘어에 약속이 있어서.. 곧 나가보려고 해요. 정말 편하더라구요. 백화점, 이마트, 교보문고, CGV, 쇼핑몰, 식당까지... 그냥 필요한.. 2009.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