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Andy Wook Flickr>
1. 싱글로 가는 효과적인 연습방법 [링크]
2. 연습 편식 금물 [링크]
3. 연습장에 출근 말고 틈나면 빈 스윙하라! [링크]
4. '연구'는 절대 금물 스윙 궤도부터 확정하라! [링크]
5. 골프한다고 다른 운동 외면? [링크]
6. '휙~휙' 허공 가르면 거리는 저절로 쭉!쭉! [링크]
7. 묵직한 야구방망이 돌리면 스윙 균형감 쑥 오른다. [링크]
8. 퍼팅매트 걷어치우고 군용 담요 위에서 놀아라.[링크]
9. 버디 잡고, 이글 잡고, 상상 라운드 어때요?[링크]
골프에서의 ‘방향성’에 대해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 마치 방향성이 ‘클럽 페이스가 어떻게 놓여 있는지’ ‘그립을 어떻게 잡았는지’ ‘스탠스를 어떻게 취했는지’를 말해주는 것처럼 이해하는 것이다.
물론 이런 요소는 공이 날아가는 데 영향을 미친다. 그렇지만 결정적인 요소는 아니다.
방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스윙의 궤도다.
훅 스탠스로도 슬라이스 방향으로 공을 보낼 수 있고, 슬라이스 그립을 잡고도 훅으로 보낼 수 있다. 클럽 페이스를 완전히 열어놓고도 훅 방향으로 공을 보낼 수 있다는 얘기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말로 하면 잘 안 믿는 사람도 실제 공을 치면서 설명하면 의심의 여지가 없음을 깨닫는다. 골프라는 운동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면 스스로도 어렵지 않게 실험해볼 수 있는 일이다.
공을 치는 방향은 3가지다. 똑바로, 왼쪽, 오른쪽이 그것이다. 스트레이트, 푸시, 풀이라고도 하는데 그 끝이 다시 왼쪽으로 휘는지, 똑바로인지, 오른쪽으로 휘는지에 따라 3가지 구질로 나뉜다. 그러니 공의 탄도를 논외로 하고 구질을 나누면 모두 9가지의 방향과 구질이 나온다. 예를 들면 슬라이스도 스트레이트성 슬라이스, 풀성 슬라이스, 푸시성 슬라이스가 있고 훅도, 스트레이트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밀려서 왼쪽으로 가거나, 당겨서 오른쪽으로 가는 공을 없앨 수만 있다면 직진성의 훅이나 슬라이스는 그다지 병적인 현상도 아니다. 오조준을 통해 얼마든지 멋지게 골프를 즐길 수 있다. 그렇다면 먼저 푸시나 풀을 없애야 하는데, 이를 연습하는 방법은 아주 쉽고 간단하다. 티슈박스 하나만 있으면 된다.
연습 스윙을 할 때 공의 위치 바로 앞에 티슈박스를 가로로 놓고 한다. 마치 벽 앞에서 연습하는 느낌이 들 것이다. 그렇게 10분 정도 한 뒤 실제 공을 칠 때도 티슈박스로
공이 날아갈 방향을 가이드해놓고 친다. 클럽이 아슬아슬하게 스치고 지나갈 만큼 가까이 놓는 것이 중요하다. 티슈박스를 후려치지 않는 한 클럽 헤드가 ‘인 아웃’도 안 되고 ‘아웃 인’도 안 되니, 푸시도 없고 풀도 없다.
원문 : 마음골프학교(www.maumgolf.com) 김헌(내안의 골프본능 저자)
'골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팅 거리 조절, 나에게 맞는 퍼팅은? (12) | 2011.03.17 |
---|---|
LPGA프로 여민선이 말하는 장타치기의 비밀 (19) | 2011.03.10 |
버디 잡고, 이글 잡고, 상상 라운드 어때요? - 싱글로 가는 연습습관(9) (23) | 2010.09.17 |
퍼팅 매트 걷어치우고 군용 담요 위에서 놀아라 - 싱글로 가는 연습습관(8) (20) | 2010.09.02 |
묵직한 야구방망이 돌리면 스윙 균형감 쑥 오른다 - 싱글로 가는 연습습관(7) (12) | 2010.08.18 |
댓글